티스토리 뷰

Apple - Vision OS

 

 

올해 WWDC 2023 화두를 뽑으라면 뭐니뭐니해도 비전프로를 뽑을 수 있다. WWDC 개발자 세션의 많은 내용이 비전프로로만 가득 차 있어서 조금 아쉬울 정도였다. 아직 정식 하드웨어는 출시하지 않았지만 개발자를 위한 visionOS가 미국 현지 시각 6월 21일 부터 Xcode15 beta 2에서 지원을 시작했다. 

 

이번 글에서 기본 Hello world 프로젝트를 통해 간단히 vision OS를 맛보려고 한다.

 

Apple vision OS 공식문서

Xcode15 beta 2 다운로드

 

 

프로젝트 생성

XCode15 beta2를 다운받고 프로젝트 생성을 누르면 visionOS를 확인할 수 있다. App을 선택한다.

visionOS - 프로젝트 생성

 

visionOS - 프로젝트 생성

 

기존 iOS 프로젝트와 동일하게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한다. Initial Scene에서 Window와 Volume을 선택할 수 있다.

 

Apple 공식 문서 :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visionos/adding-3d-content-to-your-app

 

Window의 경우 visionOS에서 사용하는 화면으로 기존 뷰와 컨트롤(터치 등), SwiftUI를 사용해 만들어진다. 3D 콘텐츠를 추가해 깊이감depth)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Volumes의 경우 RealityKit과 Unity를 사용해 만드는 3D 모델이다. 모든 각도에서 볼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WWDC 2023

 

WWDC 2023 동영상을 기준으로 보면 View가 Winodw, 3D 모델이 Volume이다. 

 

좌 : Window, 우 : Volume

 

프로젝트로 확인해볼 수도 있다. 다만 프로젝트에서는 3D 모델을 따로 추가해주지 않아 빈 구가 나타난다.

 

 

다음으로 Immersive Space를 선택한다. 직역하면 몰입형 공간인데 기본값은 None이다.

 

 

기본 프로젝트를 하나씩 다 만들어봤는데, 기본 프로젝트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공식문서를 찾아봤다.

 

 

몰입형 공간 : 제한되지 않는(unbounded) 내용을 사용자 주변에 보여준다.

 

어떤 Container 밖에든 SwiftUI View를 나타내기 위해 몰입형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공간에 어떠한 View든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RealityKit을 사용해 Reality View를 나타낸다.

 

Apple 공식 문서 -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swiftui/immersive-spaces/

 

3가지 종류가 있다. 

 

  1. mixed : passthrough와 내용을 섞는다. 사용자 주변에 가상 객체를 배치할 수 있게 해준다.
  2. full : passthrough를 끄고 해당 컨텐츠만 보여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새로운 세계로 끌려가는 듯한 경험을 줄 수 있다.
  3. progressive : 화면 비율에 맞춰 passthrough를 완전히 재배치 한다. 사용자가 다른 세계 뷰를 봄과 동시에 실제 세계에 머무르게 해준다.

 

WWDC 2023

WWDC 2023을 보면 비전 프로의 크라운을 돌려 집 -> 자연경관으로 이동한다. 해당 영상 바로 보기

아마 이게 Full 몰입형 공간으로 보인다.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Hello World 기본코드가 있다. Preview를 통해 visionOS를 확인할 수 있다.

 

기본 프로젝트 실행

 

 

시뮬레이터

시뮬레이터를 실행하면 맥북에 visionOS 창이 뜨게 된다.

 

 

우측 하단에 있는 컨트롤을 통해 visionOS 제스처를 사용할 수 있다. 유튜브 영상을 보니까 컨트롤러(플스, Xbox 용)로도 조작이 가능했다.

 

 

 

  1. 시선 + 탭 : 마우스 커서와 클릭으로 동작함. 비전 프로에서 사용자 시선과 탭 제스처에 해당하는 액션
  2. 시선 회전 :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360도 시선 회전
  3. 위치 이동 : 마우스를 사용해 사용자의 위치 이동
  4. 오브젝트 기준 회전 : 오브젝트(화면, 3D 모델) 기준 회전. Window Depth 확인하거나, 3D 모델 360도에서 확인할 때 사용 가능
  5. 확대 & 축소 : 기본 확대 축소. 굳이 버튼 안 선택하고 마우스(트랙패드) 확대 축소로도 사용 가능

 

이해하기 쉽게 영상으로 확인하자

 

1. 시선 + 탭

1번 : 시선 + 탭

마우스 커서에 따라 앱이 hover 된다. 마우스 클릭하면 해당 앱으로 이동한다.

 

 

2. 시선 회전

2번 : 사용자 시선에 따른 시선 회전

위치는 고정되고 시선만 변경된다.

 

3. 위치 이동

3번 : 위치 이동

현재 사용자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귀신 체험 Very Possible

 

 

4. 오브젝트 기준 회전

4번 : 오브젝트 기준 회전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Window나 Volume을 상하좌우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5. 확대 축소

5번 : 확대 축소

굳이 버튼 안 선택하고 마우스(트랙패드) 기본 확대 축소로도 동작한다.

 

 

 

 

우측 상단에 산 모양 아이콘을 클릭해 현재 위치도 이동할 수 있다.

거실 선택하기

 

우측 상단 - 가장 오른쪽 카메라 버튼을 누르면 시점과 위치를 원상 복구해준다.

 

시점 복구

 

 

visionOS 앱 내부에 있는 기본 앱도 사용해 볼 수 있다.

 

출처 : 유튜브 침착맨 채널

 

visionOS를 통해 침착맨 삼국지도 즐길 수 있다. (500만원 짜리 유튜브, 넷플릭스 머신)

 

 

 

 

정리

visionOS 기본 프로젝트와 시뮬레이터를 간단히 알아보았다. 

 

 

가장 먼저 느낀 점은 실제 기기가 너무나 기대된다는 것이다. 맥북 시뮬레이터가 아니라 실제 8K 디스플레이를 통해 현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기가 정말 궁금하고 기대가 됐다. 앞으로 이 기기가 VR, AR 시장을 어떻게 이끌어나갈지가 궁금하다.

 

 

두 번째로 느낀점은 Window를 구성할 때 기존 SwiftUI 코드를 기반으로 화면만 옮겨갈 수 있도록 쉽게 만든 느낌이었다. 이건 단순히 비전 프로뿐만 아니라 모든 애플 OS에 해당하는 이야기기도 하다. 앞으로 SwiftUI를 통해 작성하는 코드의 생산성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iOS 개발자가 아닌  Apple OS 개발자라고 불리는 날이 금방 오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마지막으로 느낀 점은 시뮬레이터가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는 느낌이였다. 평소에 블로그 글을 작성하며 더블 모니터 + Xcode + Figma + 크롬창 10개 정도를 동시에 사용해도 발열이 있었던 적은 거의 없었다. 이번 글을 작성하며 visionOS 시뮬레이터를 돌렸는데 M1 Max를 사용하면서 처음으로 팬이 풀로 돌아갔던 것 같다. 인텔 맥으로 돌아간줄.... 😂 M1 맥북 프로로도 충분하다 생각했는데 본격적으로 visionOS 개발을 하게되면 또 기기병이 오는게 아닌지 모르겠다.

 

 

 

visonOS 맛보기 끝끝끝끝

 

출처

 

visionOS | Apple Developer Documentation

Create a new universe of apps and games for Apple Vision Pro.

developer.apple.com

 

https://www.youtube.com/watch?v=GYkq9Rgoj8E 

https://www.youtube.com/watch?v=GKmXqPG8u-o 

https://www.youtube.com/watch?v=V-mIIcvYrh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