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체육복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n lost reserve return
5 [2,4] [1,3,5] 5
5 [2,4] [3] 4
5 [3] [1] 2

 

문제 풀이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리디 알고리즘은 순간 순간에 최선의 선택을 하는 알고리즘이다.

배열의 첫번째부터 탐색을 하면서 체육복을 가지고 있는 애가 지금 줄 수 있는 애한테 주면 된다.

 

 

1. 새로운 배열 arr1(도난), arr2(여벌) 를 선언해준다.

제한사항에서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도난을 당했을 수 있다했으므로 filter 메소드를 통해 lost와 reserve에서 중복되는 값들은 빼준다. 그 후 정렬을 해줘야 한다.

테스트 케이스에 순서대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sorted()를 하지 않으면 아마 5번 12번이 통과되지 않는다.

 

 

2. 이제 arr1(도난)에 대해 for루프를 돈다.

첫 번째 if 문

arr2(여벌)에서 i - 1이 있으면 arr1(도난)에서 i를 제거해주고 arr2(여벌)에서 i - 1 을 제거해준다.

 

두 번째 if 문

arr2(여벌)에서 i + 1이 있으면 arr1(도난)에서 i를 제거해주고 arr2(여벌)에서 i + 1 을 제거해준다.

 

첫 번째 예시를 사용해보겠다.

n lost = arr1 reserve = arr2 return
5 [2,4] [1,3,5] 5

i = 2 일 때

arr2 가 i - 1 = 1 을 가지고 있다.

arr1의 2 삭제, arr2 1 삭제 -> arr1 = [4] arr2 = [3, 5] 가 남는다.

 

i = 4 일 때

arr2가 i - 1 = 3 을 가지고 있다.

arr1의 4 삭제, arr2 3 삭제 -> arr1 = [] arr2 = [5] 가 된다.

 

리턴값 = n - arr1.count = 5 - 0 = 5 를 리턴한다.

 

 

 

코드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Int, _ lost:[Int], _ reserve:[Int]) -> Int {
    
    var arr1 = lost.filter{!reserve.contains($0)}.sorted(by: <)
    var arr2 = reserve.filter{!lost.contains($0)}.sorted(by: <)
    
    for i in arr1 {
        if(arr2.contains(i - 1)) {
            arr1.remove(at: arr1.firstIndex(of: i)!)
            arr2.remove(at: arr2.firstIndex(of: i - 1)!)
        } else if(arr2.contains(i + 1)) {
            arr1.remove(at: arr1.firstIndex(of: i)!)
            arr2.remove(at: arr2.firstIndex(of: i + 1)!)
        }
    }
    
    return n - arr1.count
}

 

 

 

후기

그리디 알고리즘의 기본 문제를 풀어보았다.

그리디 알고리즘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리즘 테스트를 준비할 때 가장 첫 번째로 입문하는 알고리즘이다.

그리디 알고리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를 정확히 읽고 파악하는 능력이 아닐까 싶다.

가장 좋은 방법은 많은 문제를 접해보는 것 같다.

프로그래머스랑 백준 열심히 풀자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